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박인로 누항사 원문

by 레벡 2020. 3. 20.

박인로의 누항사 원문입니다.

 

어리고 우활(迂闊)산 이  우 더니 업다.
길흉 화복(吉凶禍福)을 하날긔 부쳐 두고,
누항(陋巷) 깁푼 곳의 초막(草幕)을 지어 두고,
풍조우석(風朝雨夕)에 석은 딥히 셥히 되야,
셔 홉 밥 닷 홉 죽(粥)에 연기(煙氣)도 하도 할샤.
설 데인 숙냉(熟冷)애 뷘 배 쇡일 이로다.
생애 이러다 장부(丈夫) 을 옴길넌가.
안빈 일념(安貧一念)을 젹을망정 품고 이셔,
수의(隨宜)로 살려 니 날로 조차 저어(齟齬)다.
 
히 부족(不足)거든 봄이라 유여(有餘)며,
주머니 뷔엿거든 병(甁)의라 담겨시랴.
빈곤(貧困) 인생(人生)이 천지간(天地間)의 나이라.
기한(飢寒)이 절신(切身)다 일단심(一丹心)을 이질가.
분의 망신(奮義忘身)야 죽어야 말녀 너겨,
우탁 우랑(于槖于囊)의 줌줌이 모아 녀코,
병과(兵戈) 오재(五載)예 감사심(敢死心)을 가져 이셔,
이시섭혈(履尸涉血)야 몃 백전(百戰)을 지연고.
 
일신(一身)이 여가(餘暇) 잇사 일가(一家)를 도라보랴.
일노장수(一奴長鬚) 노주분(奴主分)을 이졋거든,
고여춘급(告余春及)을 어 사이 각리.
경당문노(耕當問奴)인 눌려 물고.
궁경가색(躬耕稼穡)이  분(分)인 줄 알리로다.
신야경수(莘野耕叟)와 농상경옹(瓏上耕翁)을 천(賤)타 리 업것마,
아므려 갈고젼 어 쇼로 갈로손고.
 
한기태심(旱旣太甚)야 시절(時節)이 다 느즌 졔,
서주(西疇) 놉흔 논애 잠  녈비예
도상(道上) 무원수(無源水)를 반만 혀두고,
쇼  젹 듀마 고 엄섬이  말삼
친절(親切)호라 너긴 집의  업슨 황혼(黃昏)의 허위허위 다라 가셔,
구디 다 문(門) 밧긔 어득히 혼자 서셔
큰 기 아함이를 양구(良久)토록 온 후(後)에,
어와 긔 뉘신고 염치(廉恥) 업산 옵노라.
초경(初更)도 거읜 긔 엇지 와 겨신고.
연년(年年)에 이러기 구차(苟且) 줄 알건마
쇼 업 궁가(窮家)애 혜염 만하 왓삽노라.
 
공니나 갑시나 주엄 즉도 다마,
다만 어제 밤의 거넨 집 져 사이,
목 불근 수기치(雉)을 옥지읍(玉脂泣)게 어 고,
간 이근 삼해주(三亥酒)을 취(醉)토록 권(勸)거든,
이러한 은혜(恩惠)을 어이 아니 갑흘넌고.
내일(來日)로 주마 고 큰 언약(言約) 야거든,
실약(失約)이 미편(未便)니 사셜이 어려왜라.
실위(實爲) 그러면 혈마 어이고.
헌 먼덕 수기 스고 측 업슨 집신에 설피설피 물너 오니,
풍채(風採) 저근 형용(形容)애  즈칠 이로다.
 
와실(蝸室)에 드러간 잠이 와사 누어시랴.
북창(北牕)을 비겨 안자 배 기다리니,
무정(無情)한 대승(戴勝)은 이 한(恨)을 도우다.
종조(終朝) 추창(惆悵)야 먼 들흘 바라보니,
즐기 농가(農歌)도 흥(興) 업서 들리다.
세정(世情) 모 한숨은 그칠 줄을 모다.
아온 져 소뷔 볏보님도 됴세고.
가시 엉긘 묵은 밧도 용이(容易)케 갈련마,
허당 반벽(虛堂半壁)에 슬업시 걸려고야.
춘경(春耕)도 거의거다 후리쳐 더뎌 두쟈.
 
강호(江湖)  을 언지도 오러니,
구복(口腹)이 위루(爲累)야 어지버 이져다.
첨피기욱(瞻彼淇燠)혼 녹죽(綠竹)도 하도 할샤.
유비군자(有斐君子)들아 낙 나 빌려라.
노화(蘆花) 깁픈 곳애 명월 청풍(明月淸風) 벗이 되야,
님 업 풍월강산(風月江山)애 절로절로 늘그리라.
무심(無心)한 백구(白鷗)야 오라 며 말라 랴.
다토리 업슬 다문 인가 너기로라.
 
무상(無狀)한 이 몸애 무 지취(志趣) 이스리마,
두세 이렁 밧논를 다 무겨 더뎌 두고,
이시면 죽(粥)이오 업시면 굴물망졍,
남의 집 남의 거슨 전혀 부러 말렷스라.
 빈천(貧賤) 슬히 너겨 손을 헤다 물너가며,
남의 부귀(富貴) 불리 너겨 손을 치다 나아오랴.
인간(人間) 어 일이 명(命) 밧긔 삼겨시리.
빈이무원(貧而無怨)을 어렵다 건마
 생애(生涯) 이러호 설온 은 업노왜라.
단사표음(簞食瓢飮)을 이도 족(足)히 너기로라.
평생(平生)  이 온포(溫飽)애 업노왜라.
태평천하(太平天下)애 충효(忠孝)를 일을 삼아
화형제(和兄弟) 신붕우(信朋友) 외다 리 뉘 이시리.
그 밧긔 남은 일이야 삼긴 로 살렷노라.

박인로 누항사

 

출처: http://www.davincimap.co.kr/davBase/Source/davSource.jsp?Job=Body&SourID=SOUR001236

 

원문/전문 보기 - 陋巷詞(누항사)

1 어리고 우활(迂闊)산 이  우 더니 업다. 2 길흉 화복(吉凶禍福)을 하날긔 부쳐 두고, 3 누항(陋巷) 깁푼 곳의 초막(草幕)을 지어 두고, 4 풍조우석(風朝雨夕)에 석은 딥히 셥히 되야, 5 셔 홉 밥 닷 홉 죽(粥)에 연기(煙氣)도 하도 할샤. 6 설 데인 숙냉(熟冷)애 뷘 배 쇡일 이로다. 7 생애 이러다 장부(丈夫) 을 옴길넌가. 8 안빈 일념(安貧一念)을 젹을망정 품고 이셔, 9 수의(隨宜)로 살려 니 날로 조차 저어(齟齬)다

www.davincimap.co.kr

 

 

댓글